2025. 8. 22. 17:35ㆍ직무 소개
기업의 서비스 개발은 빠르게 이뤄지지만, 운영이 안정적이지 않다면 고객 경험은 크게 저하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역할이 바로 DevOps 엔지니어입니다.
DevOps 엔지니어는 개발팀과 운영팀을 연결하며, CI/CD 파이프라인과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해 효율적인 서비스 운영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DevOps 엔지니어의 하루 일과, 주요 업무, 필요한 역량, 어려움과 보람, 커리어 확장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DevOps 엔지니어란?
DevOps 엔지니어는 개발 속도를 높이고 운영 안정성을 보장하는 환경을 만드는 직무입니다.
단순히 서버를 관리하거나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개발과 운영 전 과정을 연결하는 자동화·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합니다.
주요 고용 형태
- 대기업 IT 인프라·플랫폼팀 정규직
- 클라우드·MSP 기업 엔지니어
- 스타트업 DevOps 담당자
주요 업무 범위
- CI/CD(지속적 통합·지속적 배포) 파이프라인 설계
-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Docker, Kubernetes) 운영
- 서버·네트워크·보안 관리
- 자동화 스크립트 작성(Terraform, Ansible 등)
- 로그·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하루 일과 - '개발과 운영을 이어주는 하루'
09:00~09:30 – 출근 및 시스템 점검
- 서버·네트워크 상태 확인
- CI/CD 파이프라인 정상 작동 여부 점검
09:30~11:00 – 자동화 작업
- 신규 서비스 배포 자동화 스크립트 작성
- Kubernetes 클러스터 업데이트
11:00~12:00 – 개발팀 협업
- 개발자가 요청한 배포 환경 검토
- 테스트 환경과 운영 환경 차이 분석
12:00~13:00 – 점심
13:00~14:30 – 모니터링 및 장애 대응
- 로그 분석으로 성능 저하 원인 파악
- 긴급 장애 발생 시 서버 복구 조치
14:30~16:00 – 보안·최적화 작업
- 접근 권한 관리 및 취약점 점검
- 리소스 최적화로 클라우드 비용 절감
16:00~17:00 – 팀 회의
- 개발팀·운영팀과 배포 일정 논의
- 서비스 안정화 전략 공유
17:00~18:00 – 마무리
- 작업 결과 문서화
- 내일 배포할 서비스 일정 정리 후 퇴근
힘든 점 - '끊임없는 가용성과 협업의 압박'
① 24시간 서비스 안정성 부담
- 장애가 발생하면 새벽이라도 대응해야 합니다.
② 다양한 기술 습득 필요
- 클라우드, 컨테이너, 네트워크 등 분야가 매우 넓습니다.
③ 팀 간 조율 스트레스
- 개발팀은 빠른 배포를, 운영팀은 안정성을 요구해 갈등이 생기기도 합니다.
④ 자동화 실패 리스크
- 잘못된 스크립트 하나가 서비스 전체 장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신입 DevOps 엔지니어에게 드리는 조언
- 리눅스·네트워크 기본기 필수
서버 운영의 기초는 OS와 네트워크 이해입니다. - 자동화 도구 학습
Jenkins, GitLab CI, Terraform, Ansible 등을 익히세요. - 컨테이너 경험 확보
Docker와 Kubernetes는 사실상 표준 기술입니다. - 문제 해결 능력 강조
장애 상황에서 빠르게 원인을 파악하고 조치하는 역량이 중요합니다.
보람 -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을 뒤에서 지탱한다'
- 내가 구축한 CI/CD 파이프라인으로 배포가 자동화되었을 때
- 장애를 빠르게 해결해 사용자 불편을 최소화했을 때
- 운영 효율화로 회사 비용을 절감했을 때
DevOps 엔지니어는 보이지 않지만 서비스 품질을 결정짓는 핵심 직무입니다.
커리어 확장 - 엔지니어에서 플랫폼 아키텍트로
확장 가능 경로
- 시니어 DevOps 엔지니어
- 플랫폼 엔지니어
- 클라우드 아키텍트
- SRE(Site Reliability Engineer)
특히 CI/CD 경험 + 대규모 서비스 운영 경험은 리더급 엔지니어로 성장하는 중요한 자산이 됩니다.
개발과 운영의 다리를 놓는 직무
DevOps 엔지니어는 단순히 시스템을 관리하는 사람이 아니라,
개발과 운영을 연결해 기업 서비스가 안정적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전문가입니다.
이 직무를 경험하면 자동화 역량, 문제 해결 능력, 협업 능력을 동시에 키울 수 있습니다.
이 글이 DevOps 엔지니어 직무를 준비하는 분들에게 실질적인 가이드가 되기를 바랍니다.
'직무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무 소개 : 클라우드 엔지니어 – 디지털 세상의 인프라를 책임지는 관리자 (0) | 2025.08.22 |
---|---|
직무 소개 : 데이터 엔지니어 –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설계하는 숨은 건축가 (0) | 2025.08.21 |
직무 소개 :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 데이터로 미래를 설계하는 전문가 (0) | 2025.08.21 |
직무 소개 : 데이터 분석가 – 숫자 속에서 가치를 발견하는 전문가 (0) | 2025.08.20 |
직무 소개 : 모바일 앱 개발자(Android/iOS) – 손안의 세상을 만드는 개발자 (0) | 2025.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