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소개 : 국내 영업직(법인·B2B) – 기업과 기업을 잇는 비즈니스 파트너
회사의 매출은 영업 현장에서 시작됩니다.
그중 법인·B2B 영업직은 개인 고객이 아닌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거래를 성사시키고,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유지하며, 신규 비즈니스 기회를 발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국내 법인·B2B 영업직의 하루 일과, 주요 업무, 필요한 역량, 어려움과 보람, 커리어 확장 가능성을
실제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소개합니다.
법인·B2B 영업이란?
법인·B2B 영업은 기업 간 거래를 통해 제품·서비스를 공급하거나 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직무입니다.
‘B2B(Business to Business)’라는 이름 그대로, 개인보다는 조직 단위의 고객을 상대합니다.
주요 고용 형태
- 제조·유통·서비스업체 정규직 영업사원
- 프리랜서 계약 영업대리점
- 기술영업·솔루션영업 전문직
주요 업무 범위
- 신규 거래처 발굴 및 접촉
- 제품·서비스 제안서 작성·발표
- 가격 협상·계약 체결
- 납품·설치·서비스 조율
- 거래처 관리 및 매출 분석
- 업계 동향·경쟁사 정보 수집
하루 일과 -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는 하루'
08:30~09:00 – 출근 및 일정 점검
- 거래처 미팅 일정 확인
- 제안서·계약서 준비
- 긴급 이슈 체크
09:00~11:00 – 사무실 준비·영업 기획
- 신규 고객 리스트 정리
- 제안 프레젠테이션 최종 점검
- 영업 팀 미팅에서 목표 공유
11:00~13:00 – 고객사 미팅(1)
- 제품·서비스 소개
- 고객사 요구사항 청취
- 견적·조건 협의
13:00~14:00 – 점심(네트워킹 겸 식사)
14:00~16:00 – 고객사 미팅(2)
- 계약 진행 중인 건 협상 마무리
- 서비스 품질 관련 피드백 청취
- 후속 지원 사항 정리
16:00~17:30 – 사무실 복귀·후속 작업
- 미팅 내용 CRM·영업일지에 기록
- 견적서 발송, 계약서 초안 작성
- 납품 일정 조율
17:30~18:00 – 마무리
- 다음 날 미팅 자료 준비
- 메일·전화 확인 후 퇴근
두꺼운 밑줄 스타일
힘든 점 - '성과 압박과 관계 관리의 균형'
① 매출 목표 압박
- 매달 혹은 분기별로 매출 목표가 설정됩니다.
② 고객사 관계 유지
- 가격·품질·서비스 문제로 민감한 상황이 자주 발생합니다.
③ 경쟁사와의 치열한 입찰 경쟁
- 제안서, 가격 조건, 서비스 차별화가 필수입니다.
④ 잦은 외근과 이동
- 하루 대부분을 사무실 밖에서 보내야 할 때도 많습니다.
신입 법인 영업사원에게 드리는 조언
- 제품·서비스 숙지
자사 상품의 장단점, 경쟁사 대비 강점을 명확히 알아야 합니다. - 고객 니즈 파악 능력
고객이 말하지 않는 숨은 요구까지 읽어야 합니다. - 프레젠테이션·제안서 작성 능력
시각적 자료와 스토리텔링이 설득력을 높입니다. - 관계 유지 기술
단기 매출뿐 아니라 장기 파트너십을 목표로 하세요.
보람 - '내가 만든 계약이 회사 성장을 이끈다'
- 신규 고객을 유치했을 때
- 장기 거래처가 꾸준히 매출을 주는 파트너로 성장했을 때
- 매출 목표를 달성하거나 초과했을 때
법인·B2B 영업은 성과가 곧 보람이 되는 직무입니다.
두꺼운 밑줄 스타일
커리어 확장 – 영업에서 경영으로
확장 가능 경로
- 영업팀 리더·지점장
- 영업기획·마케팅 부서 이동
- 해외 영업·글로벌 비즈니스
- 사업개발(BD)·전략기획
특히 산업 전문 지식 + 네트워크는 이직·창업 시 강력한 무기가 됩니다.
기업의 성장을 이끄는 전선
법인·B2B 영업은 단순 판매가 아니라,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고 신뢰를 쌓아 장기적인 가치를 만드는 직무입니다.
이 경험은 시장 분석, 협상, 네트워킹 등 비즈니스 핵심 역량을 고르게 키워줍니다.
이 글이 법인·B2B 영업을 준비하는 분들에게 현실적인 가이드가 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