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소개

직무 소개 : 박물관·전시관 전시 해설보조 – 전시와 관람객을 잇는 다리

Job story 2025. 8. 13. 08:23

박물관과 전시관에서 작품이나 유물을 보며 감탄하는 순간, 그 경험 뒤에는 전시해설 보조의 노력이 숨어 있습니다.
이들은 해설사의 업무를 지원하고, 관람객의 질문에 답하며, 전시실 환경을 관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박물관·전시관 전시해설 보조의 하루 일과, 주요 업무, 힘든 점, 보람, 커리어 확장 가능성
현장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소개하겠습니다.

 

 

박물관, 전시관 전시 해설 보조 직무 소개

 

전시해설 보조란?

 

전시해설 보조는 전문 해설사의 안내를 지원하며, 전시실 환경과 관람객 응대를 담당하는 현장 인력입니다.

 

주요 고용 형태

  • 국·공립 박물관 기간제·계약직
  • 시·군·구 문화재단 전시관 계약직
  • 민간 전시기획사 소속 보조 인력

주요 업무 범위

  • 해설 프로그램 지원
  • 전시 자료·도구 준비
  • 관람객 안내, 동선 유도
  • 질문 응대 및 자료 배포
  • 전시실 안전·환경 점검
  • 행사·특강 운영 지원

하루 일과 - '전시의 시작과 끝을 함께합니다'


09:00~09:30 – 출근 및 전시 준비

  • 전시실 청결·조명 점검
  • 해설 도구(마이크, 리모컨, 영상 장비) 확인
  • 자료·브로슈어 비치

09:30~12:00 – 오전 해설 프로그램 지원

  • 해설 시간표 안내
  • 관람객 대기·동선 안내
  • 해설 중 자료 전달, 질문 수집
  • 어린이·단체 관람객 안전 유도

12:00~13:00 – 점심 교대


13:00~16:00 – 오후 전시 운영

  • 해설사 부재 시 간단한 설명 제공
  • 전시물 근접 관람 시 안전 안내
  • 전시 관련 교육·체험 프로그램 지원
  • 관람객 피드백 기록

16:00~18:00 – 마감 및 정리

  • 전시실 환경 점검, 조명·장비 종료
  • 브로슈어·자료 정리
  • 분실물·파손 여부 확인
  • 다음 날 해설 일정 확인 후 퇴근

힘든 점 - '관람객 응대와 전시물 보호 사이에서'

 

① 다양한 관람객 특성

  • 아이, 학생 단체, 외국인, 어르신 등
    맞춤 안내가 필요합니다.

② 전시물 보호 책임

  • 전시물 근접 관람 시 안전사고를 방지해야 합니다.

③ 반복되는 일정

  • 매일 같은 전시·동선 반복으로 지루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④ 주말·휴일 근무

  • 전시 성수기, 행사 기간에는 근무일 조정이 잦습니다.

신입 전시해설 보조에게 드리는 조언

 

  • 전시 내용 숙지 필수
    작품·유물의 기본 설명을 암기하면 관람객 질문에 바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 안전 규칙 안내는 부드럽게
    사진 촬영 제한, 음식 반입 금지 등을 정중하게 안내하세요.
  • 해설사와 소통 유지
    프로그램 진행 중 필요한 자료·장비를 즉시 지원할 수 있습니다.
  • 방문객 유형별 응대 방법 준비
    어린이 단체, 외국인, 어르신별 안내 톤과 방식이 다릅니다.

보람 - '관람객이 전시를 더 깊게 이해할 때'

 

  • 어린이가 전시 내용을 이해하고 질문할 때
  • 관람객이 “설명이 좋아서 기억에 남아요”라고 말할 때
  • 전시가 무사히 마무리될 때

 

전시해설 보조는 단순 지원이 아니라 관람 경험을 풍부하게 만드는 역할입니다.

커리어 확장 - 보조에서 전시 전문가로

 

확장 가능 경로

  • 전시기획자, 학예사 보조에서 학예사로
  • 문화관광해설사, 교육 프로그램 강사
  • 문화재 해설·보존 분야
  • 전시홍보·마케팅 직무

특히 전시해설 경험 + 관련 전공 지식은 문화예술·관광 분야 취업 시 경쟁력을 높입니다.

전시의 숨은 주역

 

박물관·전시관 전시해설 보조는 작품과 관람객 사이를 연결하는 다리입니다.
그들의 안내와 지원이 전시 경험의 질을 결정합니다.

 

이 글이 이 직무의 가치와 현실을 더 많은 사람에게 알리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